Open API/Architecture3 변경 근거와 관리 변경 용이성은 품질 속성 중 하나 기존 아키텍처와 기존 코드의 제약 안에서 작업을 한다 많은 프로그래머와 소프트웨어 설계자들은 결코 새로운 개발 작업을 할 기회를 얻지 못한다 새로운 기능을 수용하고, 새로운 환경에 순응하고, 버그를 수정 * 변경 카테고리 1. 지역 변경 : 하나의 요소를 변경함으로써 수행, 예를 들어, 가격 로직 모듈에 새로운 업무 규칙을 추가 2. 비지역 변경 : 여러 요소를 변경해야 하지만 해당 아키텍처적인 접근 방법은 그대로 둔다 예를 들어 가격 로직 모듈에 새로운 업무 규칙을 추가한 다음 이 새로운 업무 규칙에 필요한 새로운 필드를 데이터 베이스에 추가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규칙의 결과를 나타내게 한다 3. 아키텍처적 변경 : 요소가 서로 상호작용하는 근본적인 방식에 영향을 .. 2017. 3. 4. 시스템의 품질 속성 억제 또는 가능 * 시스템에 높은 성능이 필요하다면 요소의 시간 기반 행위와 공유 리소스 사용, 요소 간 커뮤니케이션 빈도와 크기를 관리하는데 주의 * 변경용이성이 중요하다면 시스템 변경이 소수의 요소에만 영향을 미치도록 요소에 책임을 배정하는데 주의(이상적으로 각 변경은 단 하나의 요소에만 영향을 미침) * 시스템이 고도로 안전해야 한다면 요소 간 커뮤니케이션을 관리하고 보호하며, 요소가 어떤 정보에 엑세스할 수 있는지 통제, 아키텍처에 특별한 요소를 도입 * 확장성이 시스템의 성공에 중요하다면 더 높은 기능을 제공하는 대체물을 도입할 수 있도록 리소스의 사용을 지역화, 리소스에 대한 가정과 한계를 하드 코딩 * 프로젝트가 시스템의 점증적인 서브집합을 인도할 필요가 있다면 컴포넌트 사용을 주의 깊게 관리 * 시스템의 .. 2017. 3. 4. 아키텍처가 중요한 이유 * 아키텍처가 중요한 이유 1. 아키텍처는 시스템의 주도적인 품질 속성을 억제하거나 가능 2. 아키텍처에 내린 결정은 시스템이 발전할 때 변경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관리 3. 아키텍처 분석은 시스템의 품질을 초기에 예측 4. 문서화된 아키텍처는 이해 당사자 사이의 의사 소통을 향상 5. 아키텍처는 가장 초기의, 가장 기본적이며, 가장 변경하기 어려운 설계 결정의 운반체다 6. 아키텍처는 이어지는 구현에 대한 제약사항 집합을 정의한다 7. 아키텍처는 조직의 구조에 영향을 주거나 영향을 받는다 8. 아키텍처는 발전적인 프로토타이핑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9. 아키텍처는 아키텍트와 프로젝트 관리자가 비용과 일정에 대한 근거를 설명할 수 있게 하는 주요 산출물 10. 아키텍처는 제품 라인의 핵심을 구성하는, .. 2017. 3. 4. 이전 1 다음